2025년 기준중위소득 50% 100% 120% 완벽가이드 건강보험료

2025. 6. 11. 15:12MONEY

반응형

 

 

🏆 2025년 기준 중위소득 완벽 가이드

2025년 기준 중위소득이 역대 최대 폭으로 인상되었습니다!
4인 가구 기준 609만 7,773원 (전년 대비 6.42% ↑)

📊 기준 중위소득이란?

기준 중위소득은 보건복지부장관이 급여의 기준 등에 활용하기 위하여 국민기초생활보장법에 따라 고시하는 국민 가구소득의 중위값입니다. 쉽게 말해, 전체 가구를 소득 순으로 나열했을 때 정확히 중간에 위치하는 가구의 소득을 의미합니다.

💰 2025년 가구별 기준 중위소득 100%

가구원 수 기준 중위소득 100% (월) 전년 대비 인상률
1인 가구 2,392,013원 7.34% ↑
2인 가구 3,939,305원 6.69% ↑
3인 가구 5,034,011원 6.50% ↑
4인 가구 6,097,773원 6.42% ↑
5인 가구 7,117,456원 6.37% ↑
6인 가구 8,081,231원 6.33% ↑
7인 가구 9,000,929원 6.30% ↑

🎯 기초생활보장 급여별 선정 기준

기준 중위소득의 일정 비율에 따라 각종 복지 급여의 선정 기준이 결정됩니다.
급여 종류 기준 1인 가구 2인 가구 3인 가구 4인 가구
생계급여 중위소득 32% 765,444원 1,260,578원 1,610,884원 1,951,287원
의료급여 중위소득 40% 956,805원 1,575,722원 2,013,604원 2,439,109원
주거급여 중위소득 48% 1,148,166원 1,890,866원 2,416,325원 2,926,931원
교육급여 중위소득 50% 1,196,007원 1,969,653원 2,517,006원 3,048,887원

📊 중위소득 50%~150% 상세 기준표

각종 복지 서비스와 지원 프로그램의 소득 기준으로 활용되는 중위소득 비율별 상세 금액입니다.
중위소득 비율 1인 가구 2인 가구 3인 가구 4인 가구 5인 가구 6인 가구
50% 1,196,007원 1,969,653원 2,517,006원 3,048,887원 3,558,728원 4,040,616원
60% 1,435,208원 2,363,583원 3,020,407원 3,658,664원 4,270,474원 4,848,739원
70% 1,674,409원 2,757,514원 3,523,808원 4,268,441원 4,982,219원 5,656,862원
75% 1,794,010원 2,954,479원 3,775,508원 4,573,330원 5,338,092원 6,060,923원
80% 1,913,610원 3,151,444원 4,027,209원 4,878,218원 5,693,965원 6,464,985원
90% 2,152,812원 3,545,375원 4,530,610원 5,487,996원 6,405,710원 7,273,108원
100% 2,392,013원 3,939,305원 5,034,011원 6,097,773원 7,117,456원 8,081,231원
110% 2,631,214원 4,333,236원 5,537,412원 6,707,550원 7,829,202원 8,889,354원
120% 2,870,416원 4,727,166원 6,040,813원 7,317,328원 8,540,947원 9,697,477원
130% 3,109,617원 5,121,097원 6,544,214원 7,927,105원 9,252,693원 10,505,600원
140% 3,348,818원 5,515,027원 7,047,615원 8,536,882원 9,964,438원 11,313,723원
150% 3,588,020원 5,908,958원 7,551,017원 9,146,660원 10,676,184원 12,121,847원
💡 색상별 의미
🟢 50%: 교육급여, 차상위계층 기준
🟡 75%: 차상위계층 자활급여 기준
🔵 100%: 기준 중위소득
🔴 130%: 국가장학금 8구간 기준
150%: 각종 지원사업 상한선

🏥 건강보험료로 중위소득 확인하는 방법

💡 핵심 포인트
건강보험료는 소득수준을 간접적으로 나타내는 지표로, 각종 복지 서비스 신청 시 소득 판정 기준으로 활용됩니다.

1️⃣ 건강보험료 확인 방법

Step 1: 국민건강보험공단 홈페이지(nhis.or.kr) 접속
Step 2: 개인서비스 → 보험료 조회
Step 3: 최근 납부한 건강보험료 확인

2️⃣ 건강보험료 소득판정 기준표 활용

주요 기준점
• 중위소득 50%: 교육급여 선정 기준
• 중위소득 75%: 차상위계층 기준
• 중위소득 100%: 기준 중위소득
• 중위소득 150%: 다양한 복지서비스 기준

3️⃣ 건강보험료 계산 예시 (4인 가구 기준)

중위소득 비율 월 소득 직장가입자 보험료 지역가입자 보험료
50% 3,048,887원 약 104,000원 약 110,000원
75% 4,573,330원 약 156,000원 약 165,000원
100% 6,097,773원 약 208,000원 약 220,000원
150% 9,146,660원 약 312,000원 약 330,000원
⚠️ 주의사항
• 건강보험료는 소득 외에도 재산, 자동차 등을 반영하므로 정확한 중위소득 산정을 위해서는 전문가 상담이 필요합니다.
• 위 표는 참고용이며, 실제 보험료는 개인별 상황에 따라 차이가 날 수 있습니다.

📈 중위소득 활용 분야

4
기초생활보장 급여
20+
복지 서비스
100%
정확성 목표

🔍 주요 활용 분야

  • 기초생활보장제도: 생계·의료·주거·교육급여 선정
  • 차상위계층 지원: 중위소득 50% 이하 가구 지원
  • 한부모가족 지원: 중위소득 60% 이하 기준
  • 국가장학금: 중위소득에 따른 소득구간 산정
  • 아동수당: 소득 상한선 기준
  • 기초연금: 선정 기준액 산정

🎯 나의 중위소득 확인하기

1단계: 가구원 수 확인
2단계: 월 총소득 계산 (근로소득 + 사업소득 + 재산소득 등)
3단계: 위 표에서 해당 가구원 수의 중위소득과 비교
4단계: 내 소득이 중위소득의 몇 %인지 계산
💰 계산 공식
나의 중위소득 비율(%) = (나의 월소득 ÷ 해당 가구원 수의 기준 중위소득) × 100

📞 관련 문의처

보건복지부 기초생활보장과
📞 전화: 044-202-3057
🌐 홈페이지: www.mohw.go.kr
2025년 기준 중위소득 인상으로 더 많은 분들이 다양한 복지 혜택을 받을 수 있게 되었습니다.
내가 해당하는 복지 서비스가 있는지 꼭 확인해보세요! 🎉

※ 본 정보는 2025년 6월 기준이며, 최신 정보는 보건복지부 공식 홈페이지에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.

반응형